바다사이 일상/쥔장의 요리

지금 울릉도는 복어철....

자연과 대화 2005. 11. 29. 12:07

 

밀복의 영혼

죽어서라도 둘이 맺어 주기위해 나란히 포즈를 취해준  바다사나이

 

 

 

암수 한쌍

 

 

 

손질이 한창이다

 

 

 

어젯밤에 체포되어 온 놈들

 

 

 

할복을 시켜

 

 

바닷물에 연신 목욕시킨다

 

 

아주머니와 흥정 2마리에 만원이란다

 

 

 

 

바다사나이 봉지에 큰놈으로 골라 넣는다

아주머니에게 한마리 더...ok  그래 5마리에 2만원...

      양혜승 - 아득히 먼 곳
                       

                      복어 종류

                       

                       

                       

                       




                      단백한 맛으로 복어류 중 가장 맛이 있으며 비싸다.




                      자주복처럼 담백한 맛으로 복어류 중 가장 맛이
                      있으며 비싸다.





                      담백한 맛과 강한 색채의 빛깔을 띄며, 국내 유명
                      복 어식당에서 복수육, 복탕으로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복어





                      연안 채낚이 어선에서 어획되며, 생복으로 곤(이레)이
                      특히 많아 국내 소비는 물론 일본에서도 선호도가
                      높아 수출을 주로 함




                      독성이 없으며, 단백한 맛과 연한 육질로 복국식당에서
                      복탕,생복수육으로 인기



                      취급시 내장과 껍질 주의. 독성이 약하며 담백한
                      맛이 일품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북아 주변에서 잡히는 것은
                      전혀 독이 없어 복국집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학명 : Fugu vormicular is porphyreus
                      크기 : 40cm

                      분포
                      우리나라 동.서.남해, 일본 혹카이도 이남, 황해, 동중국해에 서식한다. 서해안의 경우, 여름철 서해 연안에서 서식하던 무리는 9~10월이 되면 황해 중부로 이동하고, 그 후 계속 남하하여 12~1월에 제주도 부근에 도달하여 월동하고, 일부는 대마도 주변해역까지 이동하며, 봄이 되면 북상한다. 동해 안의 경우, 여름철에 동해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가 수온이 내려가는 9월 이후 남쪽으로 이동하여 우리나라 동해 남부 연안과 일본 연안에서 겨울철 월동을 한다.

                      산란
                      산란기는 3~4월로서 암컷의 성숙체장은 약 30cm 이상, 수컷은 27cm 이상으로 추정되고, 산란장은 해안에서 다소 떨어진 근해로 점착성이 강한 알을 낳는다.

                      식성
                      먹이는 새우류, 게류, 오징어류 등이며, 어류를 먹는 비율은 낮은 편이다.

                      독성

                      난소, 간장이 맹독, 껍질과 장은 강독이나 살과 정소에는 독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