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하추동/春

꿀~풀

자연과 대화 2008. 5. 25. 07:33

 

 꿀풀

 

 

 


 

 

 

[ 꿀풀 전설 ]

 

중국에서 전해오는 이야기다.

어느 마을에 효성이 지극한 청년이

연주창(목에 멍울이 생기고 터져 부스럼이 되는 병)에 걸려

고생하는 늙은 어머니를 모시고 있었다.

 

온갖 약에도 효염이 없어 걱정으로

세월을 보내던 청년에게 어느 무더운 여름날

마을을 지나던 약장수로부터 자주색 꽃이 핀 들풀을 꺾어다

다려 먹이면 나을 거라는 말에 산에 가서

그 들풀을 꺾어다 어머니에게 먹이게 된다.

 

어머니의 병은 거짓말처럼 낳게 된다.

두달 뒤 고을의 수령이 같은 병에 걸려

고생한다는 말을 듣고 청년은 수령을 찾아가

그 병을 금방 낮게 해준다고 약속을 한다.

 

청년은 그 풀을 찾아 산으로 갔지만

전에 흔히 있었던 그 풀은 아무리 찾아도 없었다.

 고의 아니게 거짓말을 하게된 청년은 죽도록 매를 맞고 쫓겨난다.

 

이듬해 여름 그 약장수가 다시 찾아왔을 때 청년은

그간의 자초지정을 약장수에게 얘기하자

약장수는 그 약초는 여름이 지나면

시들어 버린다는 것을 가르쳐 주었고

청년은 다시는 그러한 사실을 잊지 않기 위하여

그 풀의 이름을 여름(夏)에 시드는(枯, 마를 고)

풀이란 뜻으로 하고초(夏枯草)라 지었다고 한다. ....

 

 

진보라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분류 : 꿀풀과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타이완·사할린·시베리아 남동부

서식장소 : 산기슭의 볕이 잘 드는 풀밭

크기 : 높이 30cm

 

[ 꽃말 : 추억 ]

 

가지골나물이라고도 한다.

산기슭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란다.

전체에 짧은 흰 털이 흩어져 난다.

줄기는 네모지고 다소 뭉쳐나며 곧게 서고 높이가 30cm 정도이고,

 밑 부분에서 기는줄기가 나와 벋는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긴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로 길이가 2∼5cm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자줏빛으로 피고 줄기 끝에

길이 3∼8cm의 원기둥 모양 수상꽃차례를 이룬다.

 

 포는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각각 3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뾰족하게 5갈래로 갈라지고

길이가 7∼8mm이며 겉에 잔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가 2cm로 입술 모양인데,

윗입술잎은 곧게 서고 아랫입술꽃잎은 3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양성화인데 수꽃이 퇴화된 꽃은 크기가 작다.

 수술은 4개 중 2개가 길다.  

열매는 분과(:분열과에서 갈라진 각 열매)이고

 길이 1.6mm 정도의 황갈색이다.

 

봄에 어린순을 식용한다.

생약 하고초()는 꽃이삭을 말린 것이며,

한방에서는 임질·결핵·종기·전신수종·연주창

약으로 쓰고 소염제·이뇨제로도 쓴다.

 

한국·일본·중국·타이완·사할린·시베리아

남동부 등 한대에서 온대에 걸쳐 분포한다.

비슷한 종류로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꿀풀(for. albiflora),

붉은 꽃이 피는 것을 붉은꿀풀(for. lilacina),

줄기가 밑에서부터 곧추서고 기는줄기가 없으며

짧은 새순이 줄기 밑에 달리는 것을

 두메꿀풀(for. aleutica)이라고 한다.....

 

 

 

 

 

 

 

 

 

효능

안 덕균의 본초도감에 한약 명 하고초는 꿀풀과의 꿀풀, 두메꿀풀, 흰꿀풀의 지상부다.

 

 

간담에 화가 울체된 것을 다스리므로 간화로 인하여 눈이 충혈되고 아프면서

눈물이 나고 햇빛을 볼 수 없는 증상과 두통, 어지럼증에 유효하다. 결핵성 림프선염,

종기의 초기에 단방이나 현삼, 모려 등을 배합해서 치료 한다.

신경성 고혈압의 혈압을 내리는데 단방 또는 두충, 조구등을 배합해서 치료하면 효능이 뛰어나다.

약리: 물과 알콜 추출액은 혈압을 내리고 달인 물은 혈관 확장 작용을 보인다.

조기 염증반응에 현저한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토기의 염증 반응을 억제하며,

비 특이성 면역기능 이외에 특이성 면역기능에 강한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임상보고

 고혈압에 유효성을 나타낸다. 급성 황달형전염성 간염에

 이 약물 60g, 대추 30g에 물 1500mL를 붓고 서서히 끓여서 하루 3회로

나누어 복용하여 비교적 좋은 치료 효과를 얻었다. 폐결핵에 매일 60g씩 달여서

마시고 좋은 반응을 얻었다.

 

약초한방 대백과- 아이템 북스에

하고초는 구내염. 편도염, 신장염, 방광염, 결막염치료제로 좋다고 하였다.

이 외에도 갑상선질환에 탁월하고 항암효과가 있다고 한다.

 

 

 

   

'춘하추동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빨갛게 촉촉히 젖은 앵두  (0) 2008.05.28
수레국화  (0) 2008.05.27
이제부터 들판은 개망초가 접수한다..  (0) 2008.05.24
백주 대낮에 뭐 한다요  (0) 2008.05.23
족제비싸리 꽃이 이리 이뻤던가?  (0) 2008.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