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대화 2006. 8. 31. 10:37

구름 설명

 

구름의 생김새는 여러 가지입니다. 그러나 대충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아주 높은 하늘, 즉 지상에서 약 5-13킬로미터 떨어진 하늘에 생기는 구름들은 털구름, 털쌘구름,털층구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털구름은 새털구름, 털구름이라고도 하는데 그 모양이 흰 머리털이나 가는 실올들이 다발로 놓여 있는 것처럼 보이는 구름입니다.

 

 

털쌘구름은 조개구름, 비구름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여러 덩어리의 조그마한 흰 구름들이 물고기의 비늘이나 조가비의 무늬 모양으로 하늘에 널려 있어 무척 아름답게 보이는 구름입니다.

 

 

털층구름은 솜털구름이라고도 하는데 푸른 하늘에 흰 새털이나 솜털이 엷게 널려 있는 것처럼 보이는 구름입니다.

 

 

햇부리나 달무리가 생기는 것은 이 구름 때문인데 달무리나 햇무리가 보인 다음날은 흔히 날씨가 흐려집니다. 이상의 구름들을 통틀어 '상층운'이라고 합니다.

하늘 중간쯤에 생기는 구름으로 높쌘구름이 있습니다. 이구름은 그 생김새가 털쌘구름과 비슷하지만 흰 구름 덩이가털쌘구름보다 큽니다. 털쌘구름을 '중층운'이라고 합니다.


지상에서 2000미터쯤 되는 낮은 하늘에 생기는 구름을 '하층운'이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층쌘구름과 층구름이 있습니다.

층쌘구름은 두루마리구름이라고도 하는데, 구름의 두께가 두껍거나 구름이 층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 빛깔이검거나 잿빛 부분이 있습니다. 층구름은 안개구름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지면에 가장 가까이 생기는 구름입니다.
이 구름은 여름에는 아침저녁으로 생기고, 겨울에는 종종 하늘전체를 잿빛으로 덮습니다.

그 밖에 하늘 중간쯤 높이에서부터 높은 하늘까지 두껍게 낀 높층구름 낮은 하늘에서 높은 하늘까지 뻗쳐 있는 비층구름도 있습니다. 높층구름은 털층구름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하늘에 엷게 끼어 있는 털층구름과는 달리 하늘을 두껍게 뒤덮고 있습니다. 구름이 생기는 순서를 보면 먼저 털층구름이 생기고 이것이 점차 높층구름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더 두꺼워지면서 아래쪽으로 내려와 비층구름이 됩니다. 비층구름은 매우 두꺼운 구름으로 이 구름이 끼었을 때에는 낮에도 어둡고, 비나 눈이 옵니다.

그 밖에 하층운보다 조금 높은 곳에 생기는 구름으로 쌘구름과 쌘비구름이 있습니다. 쌘구름은 우리가 흔히 뭉게구름이라고 부르는 것인데 이것은 날씨가 좋을 때 생기는 구름입니다.

 

 

쌘비구름은 여름에 흔히 볼 수 있는 구름으로 위는 거의 산 모양으로 솟아 있고 아래쪽에 비를 담고 있습니다. 이 구름이 생기면 천둥이 치고 비나 우박이 내리는 수가 많습니다.

 

 

 

 

 

높이 분류

 

 

 

분류
구름이름
다른 이름
구름이 나타나는 높이
특징
상층운
권운
새털구름, 털구름
극지방 : 4~8 km
온대지방 : 8~13 km
열대지방 : 10~18 km
여름철 맑은 하늘에 나타남
권적운
조개구름,, 털쌘구름
권층운
털층구름, 햇무리구름
햇무리, 달무리의 경우일때
중층운
고적운
높쌘구름, 양떼구름
지상에서 5km부근
무지개, 광관 및 채운
고층운
높층구름,
회색차일구름
일반적으로 중간층에 자리잡고 있다.
회색 차일 같은 구름
난층운
비구름, 비층구름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비나 눈을 온다
하층운
층적운
층쌘구름
지상에서 2km~3km사이
층상구름과 적운상
층운
층구름, 안개구름
500m이내
비가 갠 후 낮은 산에 걸린 구름
적운
뭉게구름, 쌘구름
구름 아래는 일반적으로 하층에 있으며 구름 윗부분은 중층까지 올라가는 경우가 있다.
흰백색의 뭉게구름
적란운
쌘비구름, 소나기구름
지상에서 500m이내
우박이 내린다

 

 

 

 

 

 

==========================

 

 

 

일단 구름은 상층운(권운, 권적운, 권층운),

         

                  중층운( 고적운, 고층운),

   

                  하층운( 층운, 난층운, 층적운),

                

                 수직운(적운, 적란운) 으로 나눕니다.

 

 

 

 

 

 

상층운( 운저고도 6~15km)

 

권운- 기호 : Ci

           높이 : 5~13km

           형태 : 희고 셈세한 느낌을 주는 줄무늬 또는

                     명주실 모양으로 새털모양

           구름입자 : 빙정

           자속칭 : 털구름, 새털구름, 견운

           특징 : 대부분 맑은 날씨에 나타남

 

권적운- 기호 : Cc

               높이 : 5~13km

               형태 : 작은 잔물결과 연기모양으로 흡사

                        조개들이 촘촘히 흩어져 있는 모양

               구름입자 : 빙정으로 될때도 있고 물방울로

                    될때도 있으나 결국은 빙정으로 변함

               자속칭 : 털쌘구름, 비늘구름, 조개구름, 견적운

               특징 : 태양이나 달및에 의하여 광관현상이나

                         채운현상을 일으킴

 

권층운- 기호 : Cs

               높이 : 5~13km

               형태 : 반투명한 베일

               구름입자 : 빙정

               자속칭 : 털층구름, 견층운

               특징 : 햇무리 또는 달무리가 나타남. 전선이

                         다가올때 발생(날씨악화)

 

중층운(운저고도 2~6km)

 

고적운- 기호 : Ac

               높이 : 2~6km

               형태 : 흰색 또는 암회색의 양떼와 같이 뭉쳐있는 모양

               구름입자 : 수적(물방울)

               자속칭 : 높쌘구름

               특징 : 광관현상이나 채운현상이 잘 보임

 

고층운- 기호 : As

               높이 : 2~4km

               형태 : 줄무늬를 이룬 베일 모양의 구름, 회색 또는 암회색 

               구름입자 : 수적

               자속칭: 높층구름

               특징 : 약한 비나 눈등이 내리는 수가 있다.

 

하층운(운저고도 2km미만)

 

층운- 기호 : St

           높이 : 50m~2km

           형태 : 흐린 회색빛으로 하늘을 고루게 덮음

           구름입자 : 수적

           자속칭:  층구름

           특징: 안개와 비슷하지만 지면에 접해있지 않는

                   점이 다름. 안개비나 가루눈

 

층적운- 기호 : Sc

               높이 : 50m~2km

               형태 : 부드러운 회색의 조각모양

               구름입자 : 수적

               자속칭 : 층쌘구름

               특징 : 드물게 비나 눈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음

 

난층운 : 기호 : Ns

                높이 : 2~7km, 때로는 200m~500m

                형태 : 회색이고 운량이 많음

                구름입자 : 수적

                자속칭 : 비층구름

                특징 : 비나 눈이 내릴 확률이 높음,

                        저기압의  중심부근이나 전선 부근에 발달

 

수직운(운저고도 3km이내)

 

적운- 기호 : Cu

           높이 : 500m~2km

           형태 : 상부는 둥그스름하고 하부는 수평,

                     뭉게구름 모양

           구름입자 : 수적

           자속칭 : 쌘구름

           특징 : 비는 내리지 않으나 내리더라도 양이

                    극히 적음, 지표면의 가열로 발생

 

적란운- 기호 : Cb

               높이 : 500m~10km

               형태 : 수직으로 현저히 발달된 구름덩이가

                         산이나 탑 모양을 이룸

               구름입자 : 상부는 빙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하부는 물방울로 이루어짐

               자속칭 : 쌘비구름

               특징 : 천둥, 번개, 소나기 우박 및 돌풍 같은

                        악기상현상, 강한 상승기류

 

               

 

두께는 상대적으로 상층운<중층운<하층운<수직운 순으로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