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대화 2005. 7. 3. 11:37

 

 

 

(울릉도 바다에서 볼수 있는  친구들)

 

꽃갯지렁이

 


학 명
Sabellidae unid.
이 름
꽃갯지렁이
분 포
남해안, 제주도
형 태
몸통은 니질을 점액질과 혼합하여 만든 관 속에 들어가 있다. 꽃과 같이 펼쳐진 강모를 이용하여 먹이를 잡으며 강모는 매우 민감한 감각기가 있다고 여겨진다.
생 태
조류가 급한 곳에 주로 서식하며 바닷속을 떠다니는 작은 먹이입자나 플랑크톤 등을 먹는 여과식자이다. 서귀포연안의 문섭, 범섬, 숲섬 일대와 저주도 전 연안 조하대의 수심 2~30m 암초지역에 서식한다.

 
 
 
 
 
개오지
 

학 명
Phenacovolva birostris
이 름
개오지
분 포
남해안, 동해남부, 제주도
형 태
패각표면은 평평하고, 광택이 있으며, 홍적색을 띤다. 중앙부위에 옅은 빞의 담색 띠가 패각표면을 둘러싸고 있다.
생 태
수심 10-50m의 연산호에 서식한다.

 
 
 
게레치
 


학 명
Gerres oyena
이 름
게레치
분 포
우리나라 남해, 일본 중부 이남
형 태
몸은 타원형으로 측편되어 있으며 은백색이다. 체고가 높지 않다.
생 태
잡식성으로 담수의 영향이 있는 내만의 모래지역에 서식한다.

 
 
 
 
광어


학 명
Paralichtlys olivaceus
이 름
넙치 (광어)
분 포
우리나라 전연안, 일본각지, 중국해연안
형 태
몸이 긴 타원형으로 눈이 좌측에 있다. 왼쪽편은 갈색 바탕에 유백색 원형 반문이 산재해 있고, 반대쪽은 백색이다.
생 태
겨울에 깊은 바다로 이동해서 살고, 2~6월경 20m 전후의 연해 해저에서 산란한다. 저서성 어류로 조개류, 갯지렁이류 등을 포식한다.

 
 
 
 
 
강성돔
 
 


학 명
Acanthopagrus schlegeli
이 름
감성돔
분 포
우리나라 중부 이남, 일본 북해도 이남, 발해, 황해, 대만
형 태
몸은 타원형으로 다소 측편되어 있고, 체색은 은백색에서 암회색이다. .
생 태
수심 40-50m 이하의 얕은 바다에 살며, 유어는 조수웅덩이, 하구, 연안에서
살다가 크면 앞바다로 나간다. 식용으로 사용되는 고급어종이다.

 

 

 

 

 

 

놀래기

학 명
Hexagrammos agrammus
이 름
노래미
분 포
우리나라 서남동해 연안 및 일본 전연해
형 태
채색은 일반적으로 암갈색이며 작은 백색 반문이 흩어져 있다. 옆줄이 1줄만 있다.
생 태
얕은 수심에 서식하며 갯지렁이, 새우류 등 소형갑각류나 어류새끼를 섭식한다. 탐식성이 강하여 낚시에 잘 걸린다.

 
 
 
돌돔
 


학 명
Oplegnathus fasciatus
이 름
돌 돔
분 포
우리나라 중부이남, 일본전역, 대만
형 태
연한 청흑색 바탕에 7줄의 흑색 가로띠가 있는데, 성장하면서 가로띠는 점점 불분명해지고 주둥이가 흑색이 된다.
생 태
연안육식성 어류로서 성게같은 극피동물을 즐겨 먹는다.

 
 
 
 
 
부시리


학 명
Seriola lalandi
이 름
부시리
분 포
우리나라 전연해, 제주연안, 일본전연해
형 태
몸의 측편도가 방어보다 좀 더하고, 위턱후골 위의 각이 둥근 점, 주둥이의 길이와 두눈사이의 거리가 같은 점, 가슴지느러미가 배지느러미보다 짧은 점 등이 방어와 다르다.
생 태
난해 회유성 물고기로 5~6월경 산란한다. 오징어, 물고기 등을 포식한다.

 
 
 
 
 


학 명
Seriola lalandi
이 름
부시리
분 포
우리나라 전연해, 제주연안, 일본전연해
형 태
몸의 측편도가 방어보다 좀 더하고, 위턱후골 위의 각이 둥근 점, 주둥이의 길이와 두눈사이의 거리가 같은 점, 가슴지느러미가 배지느러미보다 짧은 점 등이 방어와 다르다.
생 태
난해 회유성 물고기로 5~6월경 산란한다. 오징어, 물고기 등을 포식한다.

 
 
 
 
볼블락
 
 

학 명
Sebastes inermis
이 름
불볼락
분 포
우리나라 연해, 일본 훗가이도 이남 연해
형 태
몸은 방추형으로 측편되어 있고, 빛깔은 서식장소와 깊이에 따라서 변화가 시한데 회갈색 또는 회적색, 흑회색이도.
몸통에 5-6줄의 분명하지 못한 흑색의
바가 있다. 주동이는 뾰죽하며 눈이
크다. 야행성이다.
생 태
연안성 태생어로 11-12월에 교미하여 2-3월에 자어를 산출한다.
 
 
 
 
 
 
 
볼락

학 명
Sebastes inermis
이 름
볼락
분 포
우리나라 연해, 일본 훗가이도 이남 연해
형 태
몸은 방추형으로 측편되어 있고, 빛깔은 서식장소와 깊이에 따라서 변화가 시한데 회갈색 또는 회적색, 흑회색이도. 몸통에 5-6줄의 분명하지 못한 흑색의 바가 있다. 주동이는 뾰죽하며 눈이 크다. 야행성이다.
생 태
연안성 태생어로 11-12월에 교미하여 2-3월에 자어를 산출한다. .

 
 
 
 
 
방어
 
 

학 명
Seriola quinqueradiata
이 름
방어
분 포
우리나라 동해, 남해 전 연안, 일본
형 태
주둥이에서 꼬리지느러미 기저까지 그어진 황색띠는 명확하지 않다. 배지느러미가 가슴지느러미보다 짧은 점, 주둥이가 두눈사이보다 긴점 등에서 부시리와 구별된다.
생 태
연안의 회유성 어류로 정어리, 멸치 등의 어류와 오징어류를 포식한다.

 
 
 
 
 
 
우럭

학 명
Sebastes schlegeli
이 름
우럭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형 태
몸통에 4~5줄의 불분명한 흑갈색 바가 있다. 눈 아래로 분명한 2개의 흑색 대각선 줄이 그어져 있다. 크기가 60~70cm의 대형 볼락류이다.
생 태
연안 얕은 바다 암초 사이에 살며 5~6월 초순에 자어를 낳는다. 나태생이다.

 
 
 
 
자리돔


학 명
Chromis notatus
이 름
자리돔
분 포
남해, 제주도, 일본중부이남, 동중국해
형 태
몸 색깔은 옅은 갈색이며 수중에서는 등지느러미 뒤쪽에서 선명한 백색 반점을 볼 수 있다. 성어는 크기가 13cm정도이다.
생 태
연안의 산호나 암초지대에 주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주로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는다. 산란시기는 보통 6~8월이다.

 
 
 
 
 
용치 널래기

학 명
Halichoeres poecilopterus
이 름
용치놀래기
분 포
우리나라 중남부, 제주도, 일본 중부 이남, 동중국해, 필리핀
형 태
등의 가장자리 및 몸통 중앙에 검은 세로 무늬가 있다. 수컷은 푸른색 바탕에 가슴지느러미 뒤쪽 검은 반점이 있다.
생 태
내만의 모래질 해역에 주로 서식하며, 갑각류나 갯지렁이를 먹는다.
 
 
 
 
 
 
농어


학 명
Lateolabrax japonicus
이 름
농어
분 포
우리나라 전 연안, 일본 북해도 이남,
중국 ,대만
형 태
몸이 가늘고 길며 측편되어 있다.
유어는 몸에 검정색 반점이 있으나
성어가 되면 소실된다.
생 태
가을이나 겨울철에 민물과 바닷물이
혼합되어 있는 연안이나 하구에서
산란을 한다.
 
 
 
 
 
 
가시산호
 
 


학 명
Verrucella umbraculum
이 름
가시산호
분 포
제주도,동해안
형 태
부채모양의 일평면상의 큰 군체를 이룬다. 잔가지는 매우 짧고, 가장자리에서 날씬하게 뻗어나와있다. 군체는 혈적색, 촉수는 백색이다.
생 태
조류의 흐름이 원활한 지역에서 나타나며, 다이버들에 의해 채취됨으로서 이제는 30m이상 수심에서만 관찰된다.

 
 
 
 
 
 
담치
 
 

학 명
 
이 름
동해담치
분 포
우리나라, 일본
형 태
껍데기가 두껍고 튼튼한 조개이다. 각피(殼皮)는 흑갈색이고 껍데기 표면에 성장맥(成長脈)이 고리 모양으로 있다. 조개의 내면은 회청색인데 바깥가장자리는 청람색이다.
생 태
족사(足絲)로 암초에 착생한다.한류성 조개로 산란기는 5월이다. 동해안에서 많이 잡힌다.

 
 
 
 
 
 
다시마
 
 

학 명
Laminaria japonica
이 름
다시마
분 포
동해안
형 태
부착기, 줄기, 엽상부가 나뉘며, 주로 엽상부가 2m 이상 크게 자란다.
생 태
수심 30m까지 분포하며, 가을에 엽상부 전면에서 생식세포를 방출한 뒤,
녹으면서 줄기 끝의 생장점 부근
엽상부만 남으며, 수온이 내려가면
다시 성장한다.

 
 
 
 
 
 
미역


학 명
Undaria pinnatifida
이 름
미역
분 포
우리나라 전 해역
형 태
줄기의 양측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남방형의 경우 잎이 얇고, 옆편수가
많으며, 북방형은 대형이며, 줄기가 길고 옆편수가 적다.
생 태
외해로 열린 지역의 암반에 부착하며, 1년생이다. 한국, 일본 특산종이나 최근들어 호주, 유럽에도 진출해 있다.

 
 
 
 
멍게
 


학 명
Halocynthia aurantium
이 름
멍게
분 포
동해안
형 태
표면이 붉은색으로 매끈하고,
외피가 두껍다.
생 태
동해 어초등 수심 30m 이상에서
주로 발견된다.

 
 
 
 
 
 
문어
 


학 명
Paroctopus dofleini
이 름
문 어
분 포
동해안, 제주도
형 태
전장 3m까지 자라는 대형종으로 몸통의 전체적 외형은 타원형에 가깝다. 몸통의 표면은 부드러우며, 많은 돌기들이
나타난다.
생 태
봄에서 여름사이 낮은 수심에 알을 낳는다. 산란후 깊은 곳으로 이동하여 산다.
 
 
 
 
 
백송


학 명
 
이 름
백송
분 포
 
형 태
 
생 태
 

 
 
 
 
 
 
백산호


학 명
 
이 름
백산호
분 포
우리나라 연해, 일본 훗가이도 이남 연해
형 태
높이와 나비가 모두 20∼30cm이다. 군체는 나뭇가지 모양이고 보통 한 평면(平面)으로 분지해 있으며 빛깔은 흰색이다.
생 태
한국에서는 남해의 수십 m 밑바닥의 암초에 착생하여 서식한다. 빨간산호와 연분홍산호와 함께 골축(骨軸)은 장식용으로 가공되나 품질은 그리 좋지 않다.

 
 
 
 
부채산호

학 명
Melithaeaflabellifera
이 름
부채산호
분 포
동해안, 남해안
형 태
군체의 기부로부터 바로 가지가 형성된다.
가지들은 끝으로 갈수록 납작해 진다.
폴립은 줄기나 가지의 양측면과 뒷면에 나 있으며 주로 양측면에 많이 배열되어 있다.
생 태
동해안 수심 20m 이하의 어초지역에서 주로 관찰된다. 어둡고, 조류의 흐름이 월활한 지역을 선호한다.

 
 
 
 
 
스폰지 산호
 


학 명
Callyspongia sp.
이 름
예쁜이 해면류
분 포
우리나라 전역
형 태
큰컴 또는 깔대기 모양의 속빈 관을 가지고 있으며, 보라예쁜이 해면보다 작은 돌기를 가지고 있다. 해면질이 강하고, 연보라 또는 짙은 황갈색을 띤다.
생 태
수심 30m 이상 지역의 조류소통이 원활한 암반 경사면에서 관찰된다.

 
 
 
 
 
 
연산호
 

학 명
 
이 름
연산호
분 포
우리나나 제주해역과 남해안
형 태
연산호는 돌산호가 딱딱한 석회질 분비물을 분비하는데 반하여 유연한 젤라틴 성분의 단백질과 작은 골편을 만들어 골격을 형성한다. 부채산호, 바다맨드라미, 바다조름류가 연산호에 속한다.
생 태
 
 
 
 
 
 
산호

 
 
 
 
 
홍산호
 

학 명
Dendronephthya gigantea
이 름
수지맨드라미류
분 포
제주도
형 태
덩어리형 군체, 관부가 관목모양으로 몇 개의 곧고, 단단한 원주모양의 가지들로 구성된다. 가지는 불규칙한 형태를 나타내며, 매끈하고 긴골침이 가로로 배열되어 있다. 폴립은 붉은 빛이 도는 주홍색이다.
생 태
수심 30m 이상 지역에 서식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군락을 이루기도 한다.
 
 
 
 
 
참소라

학 명
Batillus cornutus
이 름
소라
분 포
남해안, 동해남부, 제주도
형 태
각구가 둥글고 은백색이며,
뚜껑은 석회질로 밖에서 미세하고,
예리한 과립들이 붙어있다.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파도가 센곳의
경우 뿔이 발달하였다.
생 태
어린개체는 수심이 낮은 곳에 살며, 커질수록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야행성이다.

 
 
 
 
 
 
전복
 


학 명
Nordotis discus
이 름
전복
분 포
우라나라 전 연안
형 태
겉모양은 타원형으로 껍질에는 방사형 무늬가 많다. 구멍은 원뿔형으로 솟아
있으며, 각구로부터 4-6개가 뚫려있다.
생 태
수심 10-20m 부근에 살며, 바위가 형성되고, 틈이 많은 지역에 산다. 야행성으로 밤에 나와 먹이를 먹으려, 9월부터 1월사이 산란을 한다. 2년생은 약 5cm, 4년생은 10cm 정도이다. 초식성이며, 암반을 긁어 미세조류를 먹기도 한다.

 
 
 
 
 
홍삼
 

학 명
Stichopus japonicus
이 름
해삼
분 포
우리나라 전 해안
형 태
촉수가 약 20개정도로 짧아서 밖으로 잘 노출되지 않으며, 관족은 배쪽에, 등쪽은 돌기가 발달해 있다. 체색은 회색, 갈색, 암갈색, 흑색, 홍색 등 다양하다.
생 태
암반지역, 펄지역 등에서 모두 관찰된다. 먹이는 잡식성으로 해조류, 펄, 암반유기물 등을 먹으며, 썩은 부패물을 먹기도 한다. 너무도 잘알려진 종이며, 우리가 흔히 홍삼이라 불리는 것도 같은 종이며, 다만 홍삼이라는 종은 미세한 해조류를 주 먹이로 한다.
 
 
 
 
 
 
홍합


학 명
Mytilus coruscus
이 름
홍합
분 포
우리나라 전 연안
형 태
진주담치보다느 껍지링 두껍고 각정부가 각고의 중앙부에 놓여있어 감가형 모양을 나타낸다.
껍질 안쪽은 검은 색에 약간 푸른 빛을 낸다.
각장이 15cm전후이다.
생 태
조간대 아래 수심 10m 근방의 암초에 부착한다.

 
 
 
 
성개
 


학 명
Anthocidaris crassispina
이 름
보라성게
분 포
우리나라 전연안, 일본중부이남 및 홍콩
형 태
껍데기는 두껍고 편평한 모양, 가시는 강하고 크며 끝은 뾰족하다. 큰 가시의 길이는 껍데기의 지름과 비슷하다. 가시와 껍데기는 보라색 또는 짙은 자색을 띤다.
생 태
주로 해조류를 갉아먹지만 잡식성이어서 해조 주변의 작은 생물들을 먹기도 한다. 자웅이체로 산란기는 6~9월이다. 제주 전연안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조간대에서부터 수심 70m부근의 암초지역까지 널리 서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