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금강본류 |
|
금강은 수원(水原)에서 하구까지 북서방향의 직선거리로 약 85㎞에 불과하나, 유로의 길이는 396㎞나 된다. |
수원은 소백산맥의 고봉 중의 하나인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수분리 신무산(EL.896.8m) 에서 시작하여, 북쪽으로 |
흐르면서 남대천, 봉황천, 초강천, 보청천 등과 차례로 합류되며, 대전 북쪽에는 대청다목적댐이 위치하고 있다. |
|
하천은 여기서부터 서쪽으로 흐르며, 갑천과 합류한 후 월산 부근에서 이 유역의 최대 지천인 미호천과 합류하여 |
차령산맥과 노령산맥 사이를 남서방향으로 흐르면서 정안천, 유구천 등과 합류한다. |
그리고 강경 부근에서는 논산천과 합류하여 금강호에 일시 저류 되었다가 금강하구둑 배수갑문을 거쳐 군산과 |
장항 사이로 흘러 서해로 들어간다. |
본 유역에는 금강 본류 외에 10개의 국가하천과 16개의 지방하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
|
미호천 |
|
미호천 유역은 금강유역의 북쪽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의 북쪽 및 동쪽은 한강유역, 북서쪽은 안성 · 삽교천 |
유역 남쪽은 금강 잔유지역과 접하고 있으며, 그 유역면적은 1,850㎢로서 금강 전 유역면적의 18.8%를 점하고, 미호천 |
의 유로연장은 87.3㎞이다. |
|
수원은 유역의 최북단부이며 경기도 안성군, 이천군과 충청북도 음성군의 3군계지점의 마이산(EL.432m)에서 발원 |
비교적 남향 직선유하하면서 진천군 초평면 지점에서 백곡지를 거쳐서 진천읍을 관유하는 백곡천을 합류 한다. |
백곡천 합류점부터 하류 보강천 합류지점까지는 지방하천 구간으로 다소 사행을 이루며 역시 남향하류하고 직할하천 |
시점부인 보강천 합류점부터는 남서류하면서 청주시가지를 관유하는 무심천을 합류한후 중부 및 경부고속도로교를 |
지나 미호천교 부근에서 지류 병천천을 합류한다. 유로는 단속 남서, 서류하여 조치원읍을 지나 유입하는 조천을 합류 |
하고는 유향은 크게 바뀌어 남향류하하면서 월하천(우안), 봉암천(우), 용호천 (우), 연기천(우)을 차례로 합류하고 |
충남 연기군 남면 월산리 지점에서 금강 본류에 유입한다. | |
|
갑천 |
|
|
|
갑천은 유역의 최남단지점인 충남과 전북의 경계에 있는 대둔산(EL.877.7 m)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유하하다가 |
북서쪽으로 유향을 바꾸어 흐르며 두계천, 금곡천, 매노천과 차례로 합류한다. |
이후 북향으로 유향을 바꾸어 대전광역시를 관통하면서 흐르고, 유성천과 합류하여 갑천의 제 1지류인 유등천과 |
합류한 후 대전광역시 의 경계를 벗어나면서 금강으로 유입된다. |
유역면적은 687km2이며, 본류의 유로연장 73.7km 중 국가하천 구간 95.6km이다. | |
|
논산천 |
|
|
|
논산천은 전라북도 완주군 동상면과 운주면 및 진안군 주천면의 3면계 지점의 무명봉(EL.803m) 기슭에서 발원하여 |
북서쪽으로 유하 하면서 전라북도와 충청북도의 도계를 지나 탑정저수지를 관류(貫流)하고 곧이어 유역의 남단에서 |
발원 북류하는 지류 왕암천을 합류한다. |
유향은 지속 북서류하며, 논산시가지 부근에서 계룡산의 관음봉(EL.755m)에서 발원 갑사 및 계룡저수지를 거쳐 |
남향에서 유입하고 있는 어성천과 합류하게 된다. 여기서 부터 유향은 남서쪽으로 바뀌며 좌우 황대한 농경지대를 |
관류하다가 논산천 하구부 직상지점에서 용화산 (EL.342m) 기슭에서 발원 북서류하여 강경 시가지를 끼고 유입하는 |
강경천을 합류하여 금강본류에 유입한다. | | |